반응형 음식 효능176 파 효능 부작용 보관법 좋은파 고르는 법 파는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지만 우리나라에서 재배 역사가 오래된 작물 중 하나로, 자체의 영양가는 적지만 음식의 영양가를 높여주고 맛을 좋게 해주는 채소입니다. 특히 파에 포함된 성분은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파의 원산지는 중국이며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지만 재배상 1~2년 생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엽색은 농담에는 차이가 있지만 모두 녹색이며 표면에 납질을 띠고 있습니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지만 어느 순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사람들이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어 재배한 역사가 오래된 작물 중 하나입니다. 1인당 연간 소비량 12kg 정도로 소비량이 많은 채소입니다. 파 효능 기관지 질환 예방 파에는 플라보노이드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토마토 20개를 먹는 것과.. 2021. 7. 17. 구기자 효능 부작용 구기자차 끓이는 방법 섭취방법 구기자는 가지과 낙엽관목 열매로 중국, 동아시아가 원산지로 서양에서는 고지베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중국에서는 약 3,000년 전부터 약용으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으며, 구기자 효능이 알려지면서 서양에서는 슈퍼푸드로 주목을 받는 음식이기도 합니다. 구기자는 가지과에 속하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로써 인삼과 하수오와 더불어 3대 명약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중국의 진시황제의 불로초라는 속설이 내려져 오고 있을 만큼 영양성분이 뛰어납니다. 공자의 출생 국가인 옛 노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도 구기자의 효능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회춘의 명약'이라고도 불리는 구기자는 동의보감에 의하면 '오래 먹으면 늙지 않고 추위와 더위를 이겨내며 장수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만큼 구기자는 성질이 냉하지도 열하 지도 않은.. 2021. 7. 16. 진피 효능 부작용 진피차 만드는 법 진피는 귤의 껍질로 1년 이상 오랜 시간 건조해서 만든 약재를 말합니다. 진피는 오래되고 색이 붉을수록 좋다고 해서 홍피, 진피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합니다. 이렇게 귤은 알맹이부터 껍질까지 버릴 것 하나 없이 약재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과일입니다. 귤껍질을 버릴 바에는 차라리 귤을 버리는 것이 더 낫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진피는 우리 건강에 유익한 효능들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에도 진피는 "성질이 따뜻하며 맛은 쓰고 독이 없다. 가슴에 기가 뭉친 것을 치료한다. 음식 맛이 나게 하고 소화가 잘 되게 한다. 이질을 멈추며 담연을 삭히고 기운이 위로 치미는 것과 기침을 낫게 하고, 구역질을 멎게 하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진피 효능 기관지 질환 개선 진피는 기관.. 2021. 7. 15. 복령 효능 부작용 먹는 방법 보관법 복령은 우리 역사에서는 조선 21대 임금 영조가 즐겨 마신 ‘삼령 차’에서 등장하는데 이 삼령 차가 바로 ‘인삼’과 ‘복령’을 넣어 우린 차입니다. 복령은 소나무를 벌채한 뒤 3∼10년이 지난 뒤 뿌리에서 기생하여 성장하는 균핵으로 형체가 일정하지 않습니다. 표면은 암갈색이고, 내부는 회백색의 육질 과립상으로 신선한 냄새가 감돕니다. 소나무에 기생하는 균체가 형성된 것으로 예로부터 우리 건강에 이로운 약재, 약초로서 역할을 해왔습니다. 소나무 근처에서 3-5년 , 길게는 10년 정도 기생을 하면서 균핵이 성장해 복령이라는 약초가 탄생하게 됩니다. 겨울에 캔 것이 좋으며 균의 특성상 모양 자체가 균일하지 못하고, 마치 못생긴 돼지감자, 말린 감초, 표고버섯 같이 생김새를 띄고 있습니다. 크기는 30~50c.. 2021. 7. 15.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