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식 효능176 표고버섯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방법 말리는 법 영양성분 불로장생을 꿈꿔온 진시황이 즐겨 먹은 것으로 알려진 것 중에 하나가 바로 표고버섯입니다. 진시황뿐 아니라 로마의 네로 황제, 프랑스의 나폴레옹 등 동서양 구분 없이 각별한 애정을 쏟아부었던 표고버섯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10대 항암식품 중 하나로 선정할 정도로 항암 작용이 뛰어나 볶음, 구이, 탕, 부침 등 다양한 요리 방법으로 섭취하면 좋습니다. 표고버섯은 9~10월이 가장 제철이라 할 수가 있고 이때가 가장 쫄깃하면서도 향이 깊습니다. 표고는 원목에 의한 인공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버섯 중 하나입니다. 400여 년 전 일본에서 재배법이 개발되었습니다. 표고버섯 영양성분(100g) 표고버섯 효능 항암작용 표고버섯에서 함유된 베타글루칸 성분은 항암 작용에 탁월한 성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표고버.. 2021. 8. 4. 바지락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법 해감하는 법 영양성분 갯벌을 지나다 보면 썰물에 맞춰 바지락을 채취하는 어민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꼭 어민이 아니더라도 갯벌체험에 나선 가족단위의 방문객 또한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의 중요한 단백질 공급원이었던 바지락은 자원량이 풍부하여 연간 패류 총생산량의 약 18퍼센트를 담당해왔습니다. 1801년 신유박해로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 선생은 자산어보에 바지락을 천합(淺蛤)이란 이름으로 소개하며 “살도 풍부하고 맛이 좋다”라고 기록했습니다. 바지락은 진 판새 목 백합과에 속하는 작은 바닷조개입니다. 동해안 지역에서는 ‘빤지락’, 경남 지역에서는 ‘반지래기’, 인천이나 전라도 지역에서는 ‘바지락’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바지락이라는 이름은 호미로 갯벌을 긁을 때 부딪히는 소리가 “바지락바지락”하여 .. 2021. 8. 3. 김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 방법 영양성분 김은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지에서 생산이 되는데, 주로 이 3개 국가에서 전통적으로 소비가 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일본은 고령화의 영향으로 김의 생산성이 높아지지 않고, 중국산은 환경오염과 저품질로 외면을 받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김은 양식기술의 발달과 부가가치의 재창출이라는 측면에서 지속발전 가능한 수산양식산업의 한 축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김은 완도 지역이 최고의 주산지였으나, 완도가 부가가치가 높은 전복양식의 전진기지가 되면서 김 양식을 등한시하게 되었고, 이런 김을 해남에서 양식하면서 지금은 해남이 우리나라 김의 최대 산지로 발돋움했습니다. 서양에서도 김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건강 스낵으로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우리나라 김은 수산물 수출의 최고 정점에 올라와 있습니다. 김.. 2021. 8. 2. 오만둥이 효능 고르는 법 손질법 먹는 법 보관법 미더덕과 오만둥이 차이 오만둥, 오만디, 만득이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오만둥이는 분류학적으로 미더덕아과에 속하고 산란, 부착 시기도 미더덕과 비슷합니다. 작지만 모양이 멍게와도 비슷해서 흰 멍게로도 불립니다. 정약전의 에는 한자어로 음충(淫蟲), 속어로 오만동(五萬童)이라는 바다 생명이 등장하는데 미더덕(참 미더덕)이라고 해석하기도 하지만, 표현으로 보아 돌 미더덕-오만둥이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합니다. 오만둥이의 모양이 작은 멍게처럼 생기도 했지만 울퉁불퉁한 홈이나 주름이 있어서 돌을 연상시키기도 합니다. 속에서 터지는 물과 특유의 바다 향은 덜하지만 미더덕보다는 껍질이 단단해서 겉껍질이 질긴 편인 미더덕보다 씹는 치감이 더 좋습니다. 껍질을 일일이 벗겨야 하는 미더덕보다 손질이 쉽고 뜨겁게 툭 터지는 물이 없이 씹어 .. 2021. 8. 2.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