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식 효능176 오크라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먹는 법 요리법 보관법 오크라(okra)는 끈적거리고, 미끌거리는 느낌 때문에 호불호가 나뉘는 기능성 채소입니다. 오크라의 원산지는 이집트 등 아프리카 북동부로 현재는 세계적으로 열대와 온대 기후의 비옥한 토양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전통요리에 다양하게 사용되는 식재료로 17세기에 아메리카로 전파되었고 지금은 세계 각지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아열대 식물이라 남쪽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오크라는 열매의 생김새가 여성의 손가락을 닮았다고 해 '레이디스 핑거(ladies finger)'라고 하며 변비와 여성의 미용에 좋은 효과를 내는 채소입니다. 세기의 미인들인 클레오파트라와 양귀비도 즐겨 먹었다고 전해집니다. 일본에서는 100세 건강식품으로 오크라가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낫또, 마, .. 2021. 8. 12. 오이 효능 부작용 영양성분 칼로리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 방법 오이 재배의 역사는 3000년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다. 원산지는 인도의 서북부 히말라야 지방과 네팔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1500년 전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가 먹는 오이의 품종은 크게 취청과 다다기로 구분됩니다. 취청 중에 가시가 도드라지게 있으면 가시오이, 없으면 청장 오이라고 부르며, 다다기 중에서 흰색이 많으면 백다다기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취청 계열은 수분이 많고 생으로 먹으면 시원한 맛이 좋으며, 바로 먹을 수 있는 생채나 무침으로 이용합니다. 식이섬유가 풍부해 소금에 절여도 물러지지 않고, 볶고 튀기는 요리에 알맞습니다. 다다기는 대중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품종으로, 단맛이 있고 향이 짙은 편입니다. 부드러운 식감이 특징이며, 생채나 겉절이,.. 2021. 8. 11. 깔라만시 효능 부작용 먹는 법 복용법 보관법 다이어트 깔라만시는 필리핀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북부 지역과 중국의 남부 지역에서도 재배됩니다. 필리핀에서는 일 년 내내 수확이 가능한 열대과일 중 하나로 금귤과 만다린 오렌지의 교배종입니다. 수확할 때의 깔라만시는 대개 녹색을 띠고 있으나, 운송과정에서 후숙 되어 감귤과 같은 오렌지 색을 띠게 됩니다. 깔라만시는 비타민 C의 함유량이 높고 신맛이 강하며, 요리에 사용됩니다. 오렌지 잼과 같은 방식으로 잼을 만들기도 합니다. 깔라만시도 주스를 만들 수 있으며, 라임 대신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깔라만시로 레모네이드와 같은 음료를 만들기도 합니다. 원산지인 필리핀이나 인도네시아에서는 닭, 생선, 돼지고기의 요리에 향신료처럼 넣어 사용합니다. 생선의 비린내를 없애는 데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미국.. 2021. 8. 10. 금은화 인동초 효능 부작용 먹는 법 하루 섭취량 인동초 차 인동초 술 금은화 차 금은화는 인동덩굴, 인동초, 금은 등이라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춥고 기나긴 겨울을 이겨낸 풀이라 하여 겨우살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강력한 생명력으로 추운 환경에서도 푸른 잎을 띄웁니다. 보통 꽃봉오리에서 흰색의 꽃이 피면서 시간이 지나면 금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금은화란 이름으로 불리고 있는데요. 1년 중 6~7월경 단 한 차례만 피는 귀한 꽃이기도 합니다. 이 금은화꽃이 개화 직전 상태를 수확해 말려 약재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 시기에 금은화의 영양분 함량이 가장 높아 금은화 효능을 가장 크게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 약전서에서는 이 금은화 효능에 대해 "맛은 달고 기는 평하며 성질이 다소 찬 편이라 독을 없애므로 종독, 창선 등 풍습으로 인한 여러 독을 치료한다.'라고 기술하고 있어 예부터 금은화 .. 2021. 8. 10.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