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효능' 카테고리의 글 목록 (29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음식 효능176

병풍추출물 효능 부작용 사용법 병풍추출물 재생크림 병풀은 우리나라의 남부의 섬이나 들에서 자라는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분류학에 따른 학명은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이고 다른 이름으로는 고투콜라, 센텔라 등으로 불립니다. 병풀의 원산지는 마다가스카 섬이며, 우리나라 남부지방, 인도, 일본, 스리랑카, 히말라야 지대 저습지에 군락을 이루어 자라납니다. 병풀은 중국과 인도 등의 동남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는 음식에 넣어 섭취하거나 다양한 질병치료에 이용되어 왔기에 '장수 풀' 이라고도 불립니다. 인도에서는 약용으로 사용하는 약용 허브이기도 합니다. 병풀의 잎과 줄기에는 마세카식 산(madecassic acid) 성분이 염증을 낫게 하고 종양과 궤양의 상처를 치유하는 효과가 있어 그 병풀추출물 효능을 .. 2021. 7. 10.
오디 효능 부작용 영양성분 보관법 오디(Mulberry)는 뽕나무(Morus)에서 열리는 열매입니다. 뽕나무는 원래 누에를 치기 위해서 많이 기르는 나무였습니다. 오디는 대게 6월 초여름부터 7월까지 짧은 기간 수확합니다. 오디는 익으면서 검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변합니다. 오디의 맛은 달고 신맛은 거의 없어 부드럽게 느껴집니다. 또한 과육이 물러서 잘 상하는 편이며, 빨리 익고 지기 때문에 수확 기간이 짧아 수확하자마자 급속 냉동되어 판매됩니다. 가정에서 보관할 때도 바로 먹을게 아니라면 냉동 보관해야 합니다. '동의보감'에서는 '백발을 검게 해 준다'는 대목이 나올 정도로 동의보감에서는 칭송하는 열매라고 합니다. 또 오디는 '상심자'라 불리며 완전히 익기 전 홍자색일 때 채취하여 말립니다. 한방에서 상심자는 강장제, 발모촉진제 및 빈혈.. 2021. 7. 10.
퀴노아 효능 부작용 먹는 방법 퀴노아밥 퀴노아란 고대 잉카제국에서 감자와 옥수수를 비롯해 3대 작물로 재배된 명아주과 식물입니다. 퀴노아(quinoa)의 어원은 '모든 곡식의 어머니'를 뜻하는 고내 잉카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약 4천 년 전부터 고대 잉카시대부터 재배되어 왔습니다. 퀴노아는 주로 남미 안데스 산맥 지역에서 재배되지만,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퀴노아는 주로 건조하고 서늘한 고산 지대에서도 재배가 가능할 정도로 주변 환경에 적응력이 뛰어납니다. 그리고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 성분이 있어서 병충해가 없는 작물 중 하나입니다. 퀴노아는 영양 성분이 풍부해 슈퍼푸드로 알려졌습니다. 쌀의 3분의 1밖에 되지 않는 크기임에도 쌀보다 단백질이 2배, 칼륨은 6배, 칼슘은 7배, 철분은 20배나 많이 함유돼 있습니다. 쌀과.. 2021. 7. 9.
방울무 효능 부작용 래디쉬 적환무 래디쉬, 적환무, 방울 무라고도 하며 유럽이 원산지로 뿌리는 무 같으나 훨씬 작고 잎도 작습니다. 모양은 품종에 따라 다르나 지름은 2∼2.5cm이며, 뿌리는 적색·백색·황색 및 자주색 등이며 샐러드 등의 요리에 사용합니다. 이집트의 피라미드 비문에 이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재배 시기는 상당히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무더운 계절을 제외하고 연중 심을 수 있으며 심은 지 3∼4주 후에는 수확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재배가 활발하고 약 20일 만에 수확할 수 있어 텃밭, 베란다에서도 많이 재배되고 있습니다. 방울 무 효능 1. 심장 질환에 효과적 마그네슘, 비타민C, 이소 티오 시아네이트 성분은 심장 건강을 지키는 필수 영양소라고 합니다. 마그네슘은 심장 근육을 튼튼하게 해 주고 심장과 몸 전체를 순환하는 혈액.. 2021. 7.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