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식 효능176 꽃게 효능 부작용 제철 고르는 법 손질법 보관방법 영양성분 칼로리 겨울에는 깊은 곳이나 먼 바다로 이동하여 겨울잠을 자며, 3월 하순경부터 산란을 위해 얕은 곳이나 만의 안쪽으로 이동합니다. 어선 1척 당 250∼300개의 통발을 만조 때 던졌다가 간조 3시간 전부터 끌어 올려 잡으며, 건져 올린 통발은 미끼를 넣어 다시 던져 넣습니다. 어족 보호를 위해 7~8월은 법적 금어기로 정해져 있으며, 금어기에는 냉동꽃게가 유통됩니다. 그래서 매년 6월 21일부터 8월 20일까지 금어기를 시행하여 산란이 무사히 이루어지고, 어린 꽃게가 안전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한답니다.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및 일본, 중국해역 등에 분포합니다. 찜, 탕, 게장 등으로 조리하며, 게장은 6월에 알이 찬 암게로 담근 것을 최고로 칩니다. 껍데기에는 아스타산틴(astaxanthin)이라는 물질이.. 2021. 10. 15. 결명자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먹는 법 활용법 결명자차 끓이는 법 결명이라는 이름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으며 콩과 식물인 경명초의 여문 씨를 말린 것을 흔히 결명이라고 부릅니다. 시야를 밝게 해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약 10cm 정도 되는 활모양의 꼬투리 속에 윤기가 나는 종자가 한 줄로 들어 있는데, 이것이 바로 결명의 씨앗입니다. 보통 짧은 원기둥 모양이며, 한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한쪽 끝은 매끈한데 양명, 양각, 마제결명, 초결명, 야녹두, 가녹두라고도 불립니다. 결명자는 콩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결명'의 씨앗을 말합니다. 결명은 씨앗을 꼬투리 안에 맺는데 한 꼬투리 안에는 조그맣고 딱딱한 씨앗이 20~40개가 들어 있으며 껍질이 딱딱해서 차를 끓일 때 볶아서 끓여야 잘 우러납니다. 결명자는 예부터 간과 눈에 좋은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2021. 10. 14. 아티초크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먹는 법 아티초크 분말 먹는 법 하루권장량 보관방법 유럽의 불로초라 불리는 아티초크는 장수 국가 스페인의 대표적인 건강 비결로 알려지면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하지만 유럽, 남미, 미국 등지에서 양배추, 양파처럼 대중적으로 섭취하는 꽃봉오리 채소로 고대 그리스때 부터 약용식물로 꾸준히 섭취해 왔다고 합니다. 온화한 기후를 좋아하여 한국에서는 남부 지방에서만 겨울을 날 수 있으며, 한국의 남부 지방 해안이나 제주도에서 쉽게 재배할 수 있습니다. 꽃이 피기 전에 총포 밑 부분을 잘라 채소로 먹거나 통조림으로 사용합니다. 아티초크는 꽃봉오리 부분만을 식용으로 섭취하는데, 꽃봉오리는 흔한 꽃처럼 작지 않고 성인 남성 주먹보다 조금 큰 크기입니다. 아티초크는 손질법이 까다롭고 아티초크 한 개에 식용으로 먹을 수 있는 부.. 2021. 10. 14. 배 효능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방법 칼로리 제철 서양배와 중국배, 남방형 동양배로 나뉘며 생김새와 맛이 각각 다릅니다. 서양배는 미국·유럽·칠레·호주 등지에서 재배하고, 중국배는 중국, 남방형 동양배는 한국과 일본에서 주로 재배합니다. 한국에서는 삼한시대부터 배나무를 재배한 기록이 있으며, 한말에는 황실배·청실배 등의 품종을 널리 재배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장십랑과 만삼길을 재배하였고 새로운 품종인 신고 등이 보급되었습니다. 열매 중 먹을 수 있는 부분이 약 80%인데, 수분이 85∼88%, 열량은 약 50kcal입니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주성분은 탄수화물이고 당분(과당 및 자당) 10∼13%, 사과산·주석산·시트르산 등의 유기산, 비타민 B와 C, 섬유소·지방 등이 들어 있습니다. 배는 제철이 9~11월입니다. 배는 과일을 직접 먹거나 껍질을 .. 2021. 10. 13. 이전 1 2 3 4 5 6 7 8 ··· 4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