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낭염 원인 종류 증상 진단 치료 연고 예방
본문 바로가기
건강

모낭염 원인 종류 증상 진단 치료 연고 예방

by 두두스토리 2021. 10. 14.
반응형



모낭염은 세균(특히 포도상구균) 감염, 화학적, 물리적 자극에 의하여 모낭(털구멍)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침범한 모낭의 깊이에 따라 상부를 침범한 ‘얕은 고름물집 모낭염’과 하부를 침범한 ‘깊은 고름물집 모낭염’으로 나누어집니다.


원인


모낭염은 스트레스나, 과로, 수면 부족 등에 의해 면역력이 약해진 피부 속으로 균이 침투해 발생합니다.

황색포도알균이 가장 흔한 원인균입니다. 장기간 항생제를 사용한 여드름 환자의 경우에는 그람음성균이 원인될 수 있고, 뜨거운 욕조에서 목욕한 후에는 녹농균에 의한 모낭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당뇨, 비만, 불결한 위생 상태가 관련된 요인으로 작용하며, 코를 습관적으로 후비거나 콧털을 뽑거나 겨드랑이 털을 면도하거나 타르나 석유 혹은 파라핀이 모공 속으로 들어갔을 경우 모낭염이 자주 재발합니다.


증상


모낭염의 증상은 원인과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보통 두피나 팔다리같이 전신 증상이 없고 털이 있는 곳에 발생하지만, 어느 부위에서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균이 침입한 부위는 가렵고 통증이 느껴지며, 좁쌀같이 노랗게 곪은 형태가 나타납니다.

모낭을 중심으로 붉은 반점이 생기면서 작은 구진이나 농포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 발열이나 오한 등 전신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서 국소 림프절이 붓거나 털을 중심으로 단단하고 통증이 심한 홍색 결절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가피가 형성되지만 적당히 치료하면 흉을 남기지 않고 치료됩니다. 균이 피부의 표피에만 머물지 않고 더 깊숙이 침입한 경우에는 흉터가 생기거나 탈모가 생기기도 합니다.

1) 얕은 고름물집 모낭염

얼굴, 가슴, 등, 엉덩이에 주로 발생하며, 1~4mm 크기의 농포, 딱지로 덮인 구진이 모낭과 일치하여 붉은 피부 위에 발생합니다. 여러 개의 모낭이 합쳐지기도 하며 병변이 나은 후 흉터를 남기지 않습니다. 가끔 경미한 통증이나 소양증을 호소하기도 하나 전신 증상을 동반하지는 않습니다.

2) 깊은 고름물집 모낭염

안면 부위 콧수염이 나는 부위나 윗입술 부위에 잘 발생합니다. 염증성의 구진이나 농포가 자주 재발하는 모습이며, 면도 후 주변부로 번져가고 염증이 깊어지면서 만성적으로 진행합니다.


진단


모낭염은 전문의에게 진단받고 농포 배설물 배양법을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임상 양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종기에서 나오는 분비물을 채취하여 염색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어떤 모양의 균이 있는지 확인해보는 그람염색법과, 분비물을 배지에 접종해서 어떤 균이 자라는지 확인하는 세균배양 검사를 실시하여 원인균을 찾기도 합니다.

모낭염 연고

치료


모낭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곪은 부위를 절개하고 고름을 빼낸 후 항생제를 복용합니다. 만성 염증의 경우 항균, 항바이러스, 항소양 작용이 있는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피부에 도포하여 치료합니다.

항균제가 포함된 비누를 사용할 수 있고, 국소 항생제를 7~10일간 병변부에 바릅니다. 자꾸 재발하고 병변이 광범위한 경우,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경구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경과


모낭염은 치료하면 2주 내에 완전히 회복되지만, 보통 재발합니다. 극소수이긴 하지만 혈액 내로 감염이 침입하여 몸 전체에 퍼질 경우 패혈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1) 얕은 고름물집 모낭염

병변이 나은 후 흉터를 남기지 않습니다. 모낭염이 심해져서 종기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2) 깊은 고름물집 모낭염

병변부의 털이 빠지고 딱지와 위축성의 흉터를 남길 수 있습니다.


예방


모낭염을 예방하는 생활습관 관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세균이 성장하기 적합한 후덥지근한 곳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염증의 원인균이 다른 부위로 전염되지 않도록 농포를 긁지 않아야 합니다.
③ 면도할 때 각질층까지 제거되어 세균에 감염되고 이로 인해 모낭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도기를 청결하게 관리하여 감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④ 면도기는 반드시 자기 것을 사용하여 모낭염이 전염되는 것을 막아야 합니다.
⑤ 면도로 자극받은 피부에 영양분과 유분이 함유된 로션을 바로 바르면 곪거나 덧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⑥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하루 활동 후 땀, 피지, 오염 물질 등으로 지저분해진 두피와 모발을 깨끗이 관리하기 위해 저녁때 머리를 감는 것이 좋습니다.
⑦ 머리를 말릴 때는 반드시 뜨겁지 않은 드라이어의 바람을 사용해야 합니다. 뜨거운 바람으로 단시간에 머리를 말리면 오히려 두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두피를 건조하게 하여 염증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식이요법


당뇨가 있으면 혈당 조절을 잘하고, 비만한 경우에는 체중 조절을 하며, 위생 상태를 깨끗이 하도록 노력합니다.

당뇨, 비만, 불결한 위생 상태가 종기나 세균 감염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만성적으로 코 주변에 모낭염이 재발하는 경우는 코를 후비거나 콧속의 털을 뽑는 습관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이를 고치도록 합니다. 제대로 소독을 하지 않고 손으로 농포를 짜거나 터트리거나 불결한 손으로 병변을 자주 만지는 경우에는 세균 감염을 더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삼가도록 합니다.

알코올은 여러 종류의 피부 질환을 악화시키고 특히 염증을 심하게 하므로 주의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