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막결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 제거 눈에 돌
본문 바로가기
건강

결막결석 원인 증상 진단 치료 예방 제거 눈에 돌

by 두두스토리 2021. 10. 10.
반응형


신체 곳곳에는 몸속 분비물이 쌓여 돌과 같은 형태로 덩어리지는 결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결석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요로결석, 신장결석 방광결석, 편도결석, 담낭결석 등으로 구분하는데, 안구에도 결석증이 생깁니다.

결막은 위·아래 눈꺼풀을 뒤집었을 때 보이는 선홍빛 조직과 각막을 제외하고 안구 표면을 덮고 있는 조직, 그리고 이 두 조직을 연결해주는 구석결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결막결석은 눈꺼풀 안쪽에 생긴 돌을 뜻합니다.

결막결석이 심하지 않으면 결막 안에 박혀 있기 때문에 튀어나오지 않는 한 눈을 깜박여도, 심지어 눈을 눌러도 느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때는 시력이 떨어지거나 별다른 불편함이 없습니다. 하지만 결막을 뚫고 나오면 서서히 이물감이 느껴지고 더 심해지면 통증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 상태로 그대로 두면 각막에 상처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염증이 생길 수 있고 이것이 시력을 떨어뜨릴 만큼 진행될 수 있습니다.  


원인


눈의 결막은 눈꺼풀 안쪽과 안구의 흰 부분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막입니다. 이 결막에서 분비되는 점액성분이나 결막에 탈락된 상피세포가 석회화되어 누런 빛깔의 작은 돌처럼 보이는 물질이 결막에 생기는 것이 결막결석입니다. 결막결석은 눈꺼풀 부위 만성 염증이나 결막염, 안구건조증, 콘택트렌즈, 진한 눈 화장, 지방질이 많은 음식 섭취, 칼슘 과다 섭취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1. 안구건조증

마이봄샘이라고 하는 기름샘이 있는데 이 기름기는 눈동자에 얇은 코팅 막을 씌워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구건조증이 심한 눈은 마이봄샘의 기능이 떨어져 있어 눈동자가 건조해지기 때문에 노폐물이 잘 빠져 나가지 못하고 뭉쳐서 굳게 되고 그게 굳어서 결석을 만든다고 합니다.

2. 결막염

결막결석은 결막염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데 눈에 자극이 심하면 염증을 유발하는데, 만성염증으로 눈의 노폐물들이 뭉쳐서 결석을 만들기 때문입니다.

3. 눈화장

결막결석이 젊은 여성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원인은 짙은 눈 화장(마스카라나 아이섀도)으로 인해 미세한 화장품 가루가 각막과 결막을 자극하면서 만성 염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마스카라나 아이섀도 등은 그 자체로도 눈 표면에 상처를 낼 수 있어 건조한 겨울철에는 짙은 눈 화장을 자주 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합니다.

4. 콘택트렌즈

콘택트렌즈를 오래 착용하면 아무래도 각막에 상처가 나게되고 결막에도 자극이 되서 결막결석이 잘 생기는 환경을 만든다고 합니다.


증상


결막결석은 상당히 흔하지만 눈꺼풀 안쪽에 결석이 박혀있고 특별한 증상이 없어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상피가 벗겨져 결석이 노출되거나 결석의 크기가 커져 튀어나오면 통증이 생깁니다. 이때 눈을 비비는 등 반복적인 자극이 가해지는 경우, 각막에 상처를 입혀 2차 감염, 심하면 시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결막결석의 주된 증상으로는 마치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과 바늘로 찌르는듯한 통증이 있습니다. 결막결석은 눈물샘이나 점막에서 생성된 점액질이 변형되어 생기는데 안구 표면에 발생한 염증으로 결막 상피세포의 탈락이 잦고 눈에서 분비되는 점액질 분비량이 많은 사람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결막결석이 주로 눈꺼풀에 생기기 때문에 다래끼로 오인하기 쉽지만 다래끼는 면역력 저하로 인해 눈꺼풀 주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안구 분비물이 결석이 되는 결막결석과는 다릅니다.


진단


단순히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라든지 안구건조증과 증상이 비슷할 수 있습니다. 결막결석인지 아닌지 확인해 보려면 안과병원에서 눈꺼풀을 살짝 뒤집어 보면 눈 안에 이물질이 있는 듯한 느낌이 며칠간 이어진다면 눈꺼풀을 뒤집어 보고 안쪽, 결막 부위에 좁쌀만 한 알갱이가 오톨도톨 튀어나와 있다면 결막결석이라고 진단하게 됩니다.


치료


결막을 뒤집었을 때 결석이 보인다고 무조건 제거하지는 않습니다. 괜히 제거했다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출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가 불편함을 못 느끼면서 각막에 영향을 줄 정도도 아니라면 굳이 건들지 않습니다. 그러나 결석이 결막을 뚫고 나와 각막을 자극하여 이물감이 느껴지고 각막에 상처를 줄 우려가 있을 때 치료를 합니다.

우선 ① 안약으로 눈을 마취한 다음 의사가 장비를 통해 부위를 확인한 후 ② 의료용 바늘로 결석을 긁어내고 제거합니다.

결막결석은 제거 후에도 재발할 수 있으므로 결막결석은 정확한 발생원인을 파악한 후에 다시 재발하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적절한 치료를 한 후에는 일주일 정도 항생제 안약을 점안하고, 렌즈착용과 눈 화장을 피합니다. 결막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큰 원인이 되는 결막염을 제때 치료하고 평소에 눈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렌즈를 착용하거나 평소에 눈이 건조한 사람들은 일주일에 한두 차례 온찜질을 해주는 게 도움이 되는데 콘택트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은 평소 손을 항상 청결히 해서 눈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주의해야 하고, 안구 건조증을 유발하는 과도한 눈 화장은 피해야 합니다. 렌즈도 꼭 필요할 경우 5시간 이내로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방


결막결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눈꺼풀에 분포되어 있는 지질 분비샘인 마이봄샘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즉 눈 화장을 줄이고,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수분 공급을 해줘야 합니다. 특히 가을·겨울 등 건조한 계절에는 2~3분간 따뜻한 수건으로 눈을 찜질해 주면 좋은데 이는 딱딱하게 굳어 있는 지질을 녹여 눈 바깥으로 배출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또 콘택트렌즈를 자주 끼거나 라식 수술을 한 뒤에는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촉촉한 눈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 안구건조증, 렌즈 작용, 진한 눈 화장을 하는 사람들은 안구 표면의 염증이 생기기 쉬운 상태기 때문에 평소 눈을 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