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북한에 대한 코로나19 백신 지원과 관련해 "북한이 동의한다면 백신 공급에 협력할 것을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오후 수도 빈 호프부르크 왕궁에서 열린 판 데어 벨렌 오스트리아 대통령과 정상회담 이후 진행한 공동 기자회견에서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코벡스(백신 공동구매 국제 프로젝트)를 통한 북한의 백신 지원 계획이 있는지 질문을 받고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 역할을 할 경우 북한도 당연히 협력 대상이 된다"면서 "미국도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협력을 적극 지지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현재 한국은 백신 접종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그러나 백신 접종에 고소득 국가들이 앞서간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코로나에서 해방될 수 없다"라고 덧붙이며 "개도국을 비롯한 저소득국, 모든 나라들이 공평하게 백신에 접근할 수 있어야 비로소 전 세계가 백신에서 해방될 수 있다고 믿는다"라고 말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이어 "한국은 개도국과 저소득국에 백신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코벡스에 공여를 늘리기로 결정했다"면서 "한편으로는 한국은 지난 번 미국과의 백신 글로벌 파트너십 합의에 따라서 백신 생산의 글로벌 생산 허브가 돼 백신 보급을 늘림으로써 전 세계의 코로나 퇴치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덧붙였습니다.
문 대통령이 지난해 북한의 동북아 방역·보건 협력체 참여를 제안한데 이어 백신 공급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으로 북한이 이에 호응할지 주목됩니다.
문 대통령은 오스트리아 기자의 트럼프 행정부와 다른 조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에 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바이든 대통령은 한미 공동기자회견 자리에서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직접 발표함으로써 북한과 대화를 원한다는 강력한 메시지 발신했다"며 "북한의 호응이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면서 "남북 대화와 협력이 보다 확대된다면 이는 북미 대화를 촉진하는 선순환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판 데어 벨렌 오스트리아 대통령은 대북 백신 지원 의지에 관해 "문 대통령의 의견에 동의한다. 팬데믹의 경우 모든 국가들이 함께 노력을 해야만 극복 가능하다"면서 "그렇기 때문에 유럽, 그리고 개발도상국 그리고 가난한 국가들, 모두 백신을 맞아야 한다. 북한도 마찬가지다"라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북한 측에서 이와 관련해서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 관련 상황에 대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잘 모르겠다"며 "어떤 신호가 있다면 당연히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큐어백 백신 생산거점 한국 고려 (0) | 2021.06.16 |
---|---|
군 백신 대신 식염수 접종 (0) | 2021.06.14 |
업비트 유의 종목 25종 (0) | 2021.06.12 |
이준석 당대표 당선 (0) | 2021.06.11 |
탈당 12명 (0) | 2021.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