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2ufz4/btq5xuIl9LU/7YxsPPr44SNgFOJkUPDQ21/img.jpg)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지 1년이 훌쩍 넘는 기간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미치는 다양한 증상이 보고되어 왔습니다. 아직 관련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만큼 알려지지 않은 증상도 많은데, 미국의 한 코로나19 환자에게서 쉽게 볼 수 없는 증상이 확인됐습니다.
미국 현지 언론의 21일 보도에 따르면, 최근 코로나19 환자 중 말하거나 먹을 수 없을 정도로 혀의 크기가 커지는 대설증 증상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거설증'이라고도 부르는 이 질환은 혀가 입속에 꽉 찰 정도로 커지는 증세입니다. 선천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으로 나뉘며, 혈관종이나 림프 혈관종에 의해서도 발생합니다.
이 질환의 전문가인 미국 휴스턴의 텍사스 치과대학의 제임스 멜빌 박사는 “최근 진료한 코로나19 환자 중 9명이 대설증 증상을 보였습니다. 실제로는 비교적 흔한 질환이지만, 코로나19 환자들은 일반 대설증 환자에 비해 혀가 커지는 증상이 더욱 심했습니다. 이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거대 대설증’이라고 부르며, 매우 드문 현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멜빌 박사의 환자인 앤서니 존스 역시 지난해 7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산소치료 등을 통해 목숨을 건졌지만, 이후 대설증이 나타난 사례 중 한 명입니다. 존스의 혀는 정상 크기의 몇 배로 부풀어 오른 상태이고, 이 때문에 먹거나 말을 하는 것도 불가능했습니다.
존스는 부풀어 오른 혀 때문에 호흡까지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의료진은 폐를 보호하고자 애썼지만, 결과적으로 혀의 상태를 더욱더 나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결국 멜빌 박사와 의료진은 환자의 혀 크기를 원상태로 줄이고 염증을 완화하기 위한 수술을 진행했고, 증상은 완화됐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1XXL/btq5t2s0CbV/LPQtpCCf4WIm9K9SMPAv1K/img.jpg)
수술 및 치료 끝에 대설증 증상은 완화됐지만, 전문가들은 코로나19가 대설증을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과 과정을 아직 찾아내지 못한 상황입니다
멜빌 박사는 "코로나19에서 살아남은 환자들은 혀 조직에 염증세포가 있었고, 이것은 특정 사람들을 희귀 질환에 더 잘 노출되게 만드는 어떤 것이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멜빌 박사는 “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염증이 다른 신체 기관으로 옮겨졌고, 이것이 또 다른 염증과 붓기를 유발하는 대설증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면서 “내가 직접 확인한 코로나19 대설증 환자 9명 중 8명은 흑인이었고, 인종 또는 혈관 부종이 이러한 사례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러스가 발생한 신체의 면역 반응과 관련이 많다고 생각한 멜빌 박사는 현재 환자들의 유전자에 공통적인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연구 중입니다.
이어 “코로나19에 감염된 뒤 심장 등 다른 장기가 비대해졌다는 사례를 확인했습니다. 이것이 대설증과도 연관이 있는지 연구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대설증은 저절로 치유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의사들이 이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다면, 어떻게 예방하는지도 알아낼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BTS 빌보드 4관왕 (0) | 2021.05.24 |
---|---|
배달앱 1만원 환급 (0) | 2021.05.23 |
5인이상 집합금지 3주연장 (0) | 2021.05.21 |
고령층 접종 인센티브 검토 (0) | 2021.05.20 |
비트코인 폭락 (0) | 2021.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