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버 경보 엠버 경고 사례 국내 시행 사례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엠버 경보 엠버 경고 사례 국내 시행 사례

by 두두스토리 2021. 7. 7.
반응형



엠보 경보는 1996년 미국 텍사스주(州)의 알링턴에서 납치되어 잔혹하게 살해된 9세 소녀 엠버 해거 먼 이름에서 딴 경보체제로 '미국의 실종사건: 방송의 비상 대응(America's Missing: Broadcast Emergency Response)'의 약자(略字)이기도 합니다.

어린이가 납치되었을 경우 다양한 매체를 통해 대중들에게 즉시 그 사실을 노출시키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미국에서 시작되어 세계 각국으로 전파되고 있습니다. 앰버경보는 상업 라디오 방송이나 위성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케이블 방송 등을 통해 "Child Abduction Emergency"라는 긴급 경고 문구와 함께 납치된 어린이를 공개함으로써 국민들의 제보를 유도합니다. 경찰이 경보를 발령하면 해당 지역의 TV, 라디오 등 모든 전파매체는 폭풍경보와 마찬가지로 정규 방송을 중단하고 납치 사실을 즉각 실시간으로 보도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이메일, 전자 교통상황 안내판, 무선 SMS 메시지 등으로도 배포됩니다. 몇몇 주에서는 로또복권 단말기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앰버경보 발령은 경찰의 실종 조사기관에 의해 결정됩니다. 앰버 경보는 일반적으로 유괴된 아이의 이름과 특징, 납치범의 특징, 납치범 차량의 번호 등을 내용으로 합니다.


2002년 미국의 캘리포니아주(州)에서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공개된 13건의 납치 및 실종사건을 모두 해결한 것을 비롯해 총 30명의 납치된 어린이가 생명을 건졌습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큰 효과를 거두자 미국 의회가 이 제도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법안을 상정하면서 사회문제로 부각되었습니다. 곧 어린이 보호단체 등 관련 민간단체들은 적극 환영한 반면, 경찰 등 행정당국은 경고 시스템의 남용이 오히려 국민들의 관심을 반감시키고, 수사 과정에서도 혼선을 불러올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 제도의 전국 확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2003년에 캘리포니아 등 26개 주에서 실시되었으며, 공화당의 케이 헛치슨 의원과 민주당의 다이앤 페인스타인 의원 등 20여 명의 상ㆍ하원 의원들은 어린이 유괴, 납치 사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이를 법안으로 제정하여 전국적인 확대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법안은 연방정부 법무부 내에 앰버경보 조정관 직책을 신설하고, 경보시스템 설치ㆍ임대 경비로 각 주에 2500만 달러의 예산을 배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4월 9일 경찰청 주관하에 만 14세 미만의 유괴 실종아동 발생 시 전국 고속도로 국도 및 서울시 고속화도로 지하철 전광판 등 총 4천2백 개소의 전광판과 교통방송 라디오를 통해 관련 정보를 신속 광범위하게 전파하는 앰버 경고 시스템을 아시아 최초로 시행하였고 제1호 경보 대상으로 제주에서 실종되었던 양지승 어린이를 발견하였습니다.


반응형

댓글